임플란트를 하려고 치과에 갔다가 "뼈이식"을 해야한다는 얘기를 들으신 분들이 있을텐데요.
"뼈이식"이라니.. 왠지 걱정되시죠? 가격도 더 들어갈 것 같고,
사실 임플란트의 가격을 결정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가 바로 뼈이식 여부입니다.
임플란트 식립비용과는 별개로 추가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인데요.
뼈이식이 왜 필요한지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뼈이식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임플란트는 여러가지 크기의 제품이 출시되고 있지만 평균적으로는 지름 4미리, 길이 10미리 정도의 원통형 모양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크기의 임플란트가 온전히 다 치조골(잇몸뼈) 속에 들어가야하는데 여러가지 원인으로 치조골(잇몸뼈)이 부족하면 이를 보강하기 위해 추가적인 뼈이식을 시행하게 됩니다. 다시 말해, 비어있는 잇몸뼈를 채워주는 것이지요.
1. 치주질환으로 인한 골 소실
만성치주염이 오랜기간 지속된경우 치조골의 흡수가 발생하게 되고 특히 특정 치아에서 발생하는 경우 주변 치아의 치조골에 비해 부족한 골량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임플란트 식립을 할때 임플란트가 혼자서 깊게 심어지게 되면 신경손상의 위험성도 증가하고 다른부위에서 골이식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 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보강하기 위한 골이식이 필요한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2. 브릿지 혹은 틀니사용
치아가 상실된 상태로 오랜기간동안 사용하게 되면 치조골은 점차 흡수되는 양상을 보이게 됩니다. 치조골은 치아 혹은 임플란트 등을 사용하여 자극이 주어지면 스스로가 필요하다고 느끼고 흡수되지 않지만, 별다른 자극이 없으면 흡수가 시작되게 됩니다. 이때는 주로 수평적인 골 흡수가 많이 발생하고, 임플란트가 들어갈 폭이 부족하여 추가적인 뼈이식을
해주어야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됩니다.
3. 상악동의 크기
위턱 어금니쪽 임플란트를 식립할때 항상 고려해야하는 구조물이 있는데 바로 상악동 입니다. 상악동은 광대뼈 아래에 위치한 비어있는 공간인데요, 환자분에 따라 상악동 하방의 치조골이 10미리 이상이 되는 경우도 있지만 그 이하의 경우도
많습니다. 상악동이라는 공간은 구강내에서 바로 보이는 공간이 아니기때문에 뼈이식을 함에 있어서 조금 복잡한 방식이
필요합니다.
상악동 뼈이식 임플란트의 방식 링크
4. 발치즉시 식립
치관부의 파절 및 치근 파절 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발치를 하는 것과 동시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경우
발치와의 빈공간의 크기와 임플란트 픽스쳐간의 크기 차이로 인해 남아있는 공간에 추가적인 뼈이식이 필요하게 됩니다.
발치후 6개월에서1년정도의 시간이 지나게 되면 치조골은 알아서 차오르게 되지만 회복과정에서 치조골량의 손실이 발생하기도 하고, 전체적인 수술기간의 증가 문제 등으로 인해 최근에는 발치와 동시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총 회복기간을 줄이는 것을 선호하는 추세입니다.
이와 같이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임플란트 시술 시 환자분의 상태에 따라 뼈이식이 필요할 수 있는데요.
이렇게 알고 나니 훨씬 덜 걱정되시죠??
오늘하루치과에서는 임플란트 시 뼈이식이 필요한 이유와 그 부분을 환자분이 알기 쉽게 직접 보여드리면서
친절히 설명해드리고 있습니다.
뼈이식재의 종류 [링크]
'오늘하루치과 진료 > 네비게이션 임플란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플란트 가이드 발전과정 (0) | 2018.04.20 |
---|---|
뼈이식재의 종류 (0) | 2018.04.19 |
네비게이션 임플란트 진행과정 (0) | 2018.04.19 |
네비게이션 임플란트를 위한 장비 소개 (0) | 2018.04.17 |
네비게이션 임플란트, 결국은 실력입니다! (0) | 2018.04.17 |